두리공장
[ELK] 엘라스틱서치에서 logstash 로 RDBMS 데이터 pipeline으로 연결하기 본문
ELK 를 구성하여 RDBMS 에 있는 데이터를 logstash 로 pipeline 을 셋팅하여 저장해 보기로 한다.
먼저 ELK 를 설치해야 하는데, docker 로 설치한다.
docker repo : https://github.com/deviantony/docker-elk
GitHub - deviantony/docker-elk: The Elastic stack (ELK) powered by Docker and Compose.
The Elastic stack (ELK) powered by Docker and Compose. - GitHub - deviantony/docker-elk: The Elastic stack (ELK) powered by Docker and Compose.
github.com
Windows 10 에서는 메모리 문제가 발생하여 아래와 같이 docker-compose 파일을 수정하였다.
version: '3.7'
services:
# The 'setup' service runs a one-off script which initializes users inside
# Elasticsearch — such as 'logstash_internal' and 'kibana_system' — with the
# values of the passwords defined in the '.env' file. It also creates the
# roles required by some of these users.
#
# This task only needs to be performed once, during the *initial* startup of
# the stack. Any subsequent run will reset the passwords of existing users to
# the values defined inside the '.env' file, and the built-in roles to their
# default permissions.
#
# By default, it is excluded from the services started by 'docker compose up'
# due to the non-default profile it belongs to. To run it, either provide the
# '--profile=setup' CLI flag to Compose commands, or "up" the service by name
# such as 'docker compose up setup'.
setup:
profiles:
- setup
build:
context: setup/
args:
ELASTIC_VERSION: ${ELASTIC_VERSION}
init: true
volumes:
- ./setup/entrypoint.sh:/entrypoint.sh:ro,Z
- ./setup/lib.sh:/lib.sh:ro,Z
- ./setup/roles:/roles:ro,Z
environment:
ELASTIC_PASSWORD: ${ELASTIC_PASSWORD:-}
LOGSTASH_INTERNAL_PASSWORD: ${LOGSTASH_INTERNAL_PASSWORD:-}
KIBANA_SYSTEM_PASSWORD: ${KIBANA_SYSTEM_PASSWORD:-}
METRICBEAT_INTERNAL_PASSWORD: ${METRICBEAT_INTERNAL_PASSWORD:-}
FILEBEAT_INTERNAL_PASSWORD: ${FILEBEAT_INTERNAL_PASSWORD:-}
HEARTBEAT_INTERNAL_PASSWORD: ${HEARTBEAT_INTERNAL_PASSWORD:-}
MONITORING_INTERNAL_PASSWORD: ${MONITORING_INTERNAL_PASSWORD:-}
BEATS_SYSTEM_PASSWORD: ${BEATS_SYSTEM_PASSWORD:-}
networks:
- elk
depends_on:
- elasticsearch
elasticsearch:
build:
context: elasticsearch/
args:
ELASTIC_VERSION: ${ELASTIC_VERSION}
volumes:
- ./elasticsearch/config/elasticsearch.yml:/usr/share/elasticsearch/config/elasticsearch.yml:ro,Z
- elasticsearch:/usr/share/elasticsearch/data:Z
ports:
- 9200:9200
- 9300:9300
environment:
node.name: elasticsearch
ES_JAVA_OPTS: -Xms512m -Xmx512m
# Bootstrap password.
# Used to initialize the keystore during the initial startup of
# Elasticsearch. Ignored on subsequent runs.
ELASTIC_PASSWORD: ${ELASTIC_PASSWORD:-}
# Use single node discovery in order to disable production mode and avoid bootstrap checks.
# see: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current/bootstrap-checks.html
discovery.type: single-node
networks:
- elk
restart: unless-stopped
logstash:
build:
context: logstash/
args:
ELASTIC_VERSION: ${ELASTIC_VERSION}
volumes:
- ./logstash/config/logstash.yml:/usr/share/logstash/config/logstash.yml:ro,Z
- ./logstash/pipeline:/usr/share/logstash/pipeline:ro,Z
- ./logstash/sql:/home/sql
ports:
- 5044:5044
- 50000:50000/tcp
- 50000:50000/udp
- 9600:9600
environment:
LS_JAVA_OPTS: -Xms512m -Xmx512m
LOGSTASH_INTERNAL_PASSWORD: ${LOGSTASH_INTERNAL_PASSWORD:-}
networks:
- elk
depends_on:
- elasticsearch
restart: unless-stopped
kibana:
build:
context: kibana/
args:
ELASTIC_VERSION: ${ELASTIC_VERSION}
volumes:
- ./kibana/config/kibana.yml:/usr/share/kibana/config/kibana.yml:ro,Z
ports:
- 5601:5601
environment:
KIBANA_SYSTEM_PASSWORD: ${KIBANA_SYSTEM_PASSWORD:-}
networks:
- elk
depends_on:
- elasticsearch
restart: unless-stopped
networks:
elk:
driver: bridge
volumes:
elasticsearch:
그리고 logstash 에서 추가 플러그인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의 사이트에서 플러그인을 받았다.
https://github.com/dimMaryanto93/docker-logstash-input-jdbc
GitHub - dimMaryanto93/docker-logstash-input-jdbc: Docker -> logstash input jdbc plugin for mysql database
Docker -> logstash input jdbc plugin for mysql database - GitHub - dimMaryanto93/docker-logstash-input-jdbc: Docker -> logstash input jdbc plugin for mysql database
github.com
JDBC 는 통합으로 제공되고 있어서 충돌이 발생하기에 Dockerfile 만 아래와 같이 일부 주석처리 했다.
ARG ELASTIC_VERSION
# https://www.docker.elastic.co/
FROM docker.elastic.co/logstash/logstash:${ELASTIC_VERSION}
# Add your logstash plugins setup here
# Example: RUN logstash-plugin install logstash-filter-json
# install dependency
#RUN /usr/share/logstash/bin/logstash-plugin install logstash-input-jdbc
RUN /usr/share/logstash/bin/logstash-plugin install logstash-filter-aggregate
#RUN /usr/share/logstash/bin/logstash-plugin install logstash-filter-jdbc_streaming
RUN /usr/share/logstash/bin/logstash-plugin install logstash-filter-mutate
# copy lib database jdbc jars
COPY ./compose/mysql/mysql-connector-java-8.0.11.jar /usr/share/logstash/logstash-core/lib/jars/mysql-connector-java.jar
COPY ./compose/sql-server/mssql-jdbc-11.2.0.jre11.jar /usr/share/logstash/logstash-core/lib/jars/mssql-jdbc.jar
COPY ./compose/oracle/ojdbc6-11.2.0.4.jar /usr/share/logstash/logstash-core/lib/jars/ojdbc6.jar
COPY ./compose/postgres/postgresql-42.2.8.jar /usr/share/logstash/logstash-core/lib/jars/postgresql.jar
설치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Error response from daemon: Ports are not available: exposing port TCP 0.0.0.0:5044 -> 0.0.0.0:0: listen tcp 0.0.0.0:5044: bind: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그러면,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여 nat를 재시작해 준다.
C:\Windows\system32>net stop winnat
Windows NAT Driver 서비스를 잘 멈추었습니다.
C:\Windows\system32>net start winnat
Windows NAT Driver 서비스가 잘 시작되었습니다.
C:\docker\elk>netsh interface ipv4 show excludedportrange protocol=tcp
프로토콜 tcp 포트 제외 범위
시작 포트 끝 포트
---------- --------
5357 5357
50000 50059 *
* - 관리 포트 제외입니다.
설치가 잘 되었다면 키바나를 접속해 보자.
접속주소 : http://localhost:5601/
키바나에서는 샘플 데이터를 제공한다.
적재된 데이터 모니터링
management > stack monitoring > Indices
적재된 데이터 탐색
management > kibana > data Views > fields > Preview
색인 스키마 보기
Data > Index Management > Indices 클릭
샘플 데이터 조회
http://localhost:9200/kibana_sample_data_ecommerce/_search
{
"query": {
"bool": {
"filter": [
{
"range": {
"order_date": {
"format": "strict_date_optional_time",
"gte": "2023-01-01T09:31:41.000Z",
"lte": "2023-06-07T09:31:41.001Z"
}
}
},
{
"bool": {
"must": [],
"filter": [],
"should": [],
"must_not": []
}
}
]
}
}
}
인덱스 생성
kibana > management > index management > index templates
정상적으로 기동되는것을 확인해 보았다면 logstash 를 이용하여 RDBMS 의 데이터를 적재해 보자
참고사이트
https://www.elastic.co/kr/blog/how-to-keep-elasticsearch-synchronized-with-a-relational-database-using-logstash
https://velog.io/@data-traveler/Logstash-Elasticsearch-%EC%99%80-RDBMS-%EC%97%B0%EB%8F%99
https://www.skyer9.pe.kr/wordpress/?p=935
https://www.elastic.co/guide/en/logstash/current/plugins-inputs-jdbc.html
Jdbc input plugin | Logstash Reference [8.8] | Elastic
If not provided, Plugin will look for the driver clas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Additionally, if the library does not appear to be being loaded correctly via this setting, placing the relevant jar(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rather than via th
www.elastic.co
Jdbc input plugin | Logstash Reference [8.8] | Elastic
If not provided, Plugin will look for the driver clas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Additionally, if the library does not appear to be being loaded correctly via this setting, placing the relevant jar(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rather than via th
www.elastic.co
Jdbc input plugin | Logstash Reference [8.8] | Elastic
If not provided, Plugin will look for the driver clas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Additionally, if the library does not appear to be being loaded correctly via this setting, placing the relevant jar(s) in the Logstash Java classpath rather than via th
www.elastic.co
먼저 인덱스(search-engine-sample)를 하나 새로 생성하고,
PUT http://localhost:9200/search-engine-sample
적재할 대상 테이블을 생성해 보자(postgresql)
CREATE TABLE public.es_sample (
category varchar NULL,
title varchar NULL,
summary varchar NULL,
subtitle1 varchar NULL,
subtitle2 varchar NULL,
subtitle3 varchar NULL,
subtitle4 varchar NULL,
subtitle5 varchar NULL,
regdate date NULL,
subdesc1 text NULL,
subdesc2 text NULL,
subdesc3 text NULL,
subdesc4 text NULL,
subdesc5 text NULL,
pkey uuid NOT NULL DEFAULT gen_random_uuid()
);
그리고 나서, logstash 에서 pipeline 를 생성한다.
파일 위치 : /usr/share/logstash/pipeline/logstash.conf
### postgresql의 경우
input {
jdbc {
jdbc_driver_library => "/usr/share/logstash/logstash-core/lib/jars/postgresql.jar"
jdbc_driver_class => "org.postgresql.Driver"
jdbc_connection_string => "jdbc:postgresql://192.168.0.102:5432/{databasename}"
jdbc_user => "{dbuserid}"
jdbc_password => "{dbpassword}"
statement_filepath => "/home/sql/sample_data.sql"
schedule => "*/5 * * * * *"
jdbc_validate_connection => true
}
}
## Add your filters / logstash plugins configuration here
filter {
mutate {
copy => { "pkey" => "[@metadata][_id]"}
remove_field => ["id", "@version", "unix_ts_in_secs"]
}
}
output {
elasticsearch {
hosts => ["http://192.168.0.102:9200"]
index => "search-engine-sample"
document_id => "%{pkey}"
}
}
### mysql의 경우,
input {
jdbc {
jdbc_driver_library => "/usr/share/java/mysql-connector-java.jar"
jdbc_driver_class => "com.mysql.jdbc.Driver"
jdbc_connection_string => "jdbc:mysql://x.x.x.x:3011/Travel"
jdbc_user => "{dbuserid}"
jdbc_password => "{dbpassword}"
statement_filepath => "/home/hunetdb/logstash/config/conf_sql/searchengine_travel.sql"
schedule => "30 03,12 * * *"
type => "search-engine-travel"
}
}
filter {
if [type] == "search-engine-travel" {
mutate {
remove_field => "message"
}
ruby {
init => "require 'time'"
code => "event.set('indexDate', Time.now.utc.getlocal.strftime('%Y.%m.%d'))"
}
}
}
output {
if [type] == "search-engine-travel" {
elasticsearch {
hosts => ["x.x.x.10:9200", "x.x.x.11:9200", "x.x.x.12:9200"]
index => "search-engine-travel-%{indexDate}"
document_id => "%{travel_seq}"
user => "elastic"
password => "${elastic}"
ssl => true
ssl_certificate_verification => false
}
}
}
sample_data.sq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select
pkey, category, title, summary,
subtitle1,subtitle2,subtitle3,subtitle4,subtitle5,
subdesc1,subdesc2,subdesc3,subdesc4,subdesc5
from public.es_sample;
logstash 를 재기동해주면 적재가 된다.
적재된 데이터를 확인해 보자.
GET http://localhost:9200/search-engine-sample/_search?q=*:*
response body
{
"took": 10,
"timed_out": false,
"_shards": {
"total": 1,
"successful": 1,
"skipped": 0,
"failed": 0
},
"hits": {
"total": {
"value": 321,
"relation": "eq"
},
"max_score": 1.0,
"hits":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00af00d7-6ea6-4d46-be22-d92ffaff994b",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3.keyword",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
"_source": {
"subdesc3": "증상이 특이하여 병력과 증상 부검소견을 통해 추정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다량의 수양선 비즙과 함께 얼굴이 부으며 아래벼슬이 물렁하게 붓는 것이 차례로 나타나면 일단 이 병으로 진단해도 좋다. 그러나 오래된 양계장에서 발생했을 때나 다른 질병과 혼합감염 시는 균의 분리가 필요하다. 이 균의 분리는 발병 초기에는 안와하동내 삼출액 또는 기관점막으로 세균검사를 실시한다. 비즙 중에는 다량의 병원균이 존재하나 상재균이나 2차 감염균의 혼입이 많아 배양재료로는 적당치 않다. <br> <br>",
"subtitle1": "전파",
"@timestamp": "2023-06-12T16:26:35.374638857Z",
"subtitle4": "치료 및 예방",
"subtitle3":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결막염 눈과 코에서 분비물 배출 안와하동의",
"pkey": "00af00d7-6ea6-4d46-be22-d92ffaff994b",
"subtitle2": "임상증상 및 부검소견",
"subtitle5": "",
"title": "닭(가금저염성코라이자)",
"subdesc2": "주된 증상은 콧물과 안면부종 그리고 결막염이다. 또한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날개와 몸통부위에 비벼대기 때문에 그 부위에 먼지나 사료가 묻어서 지저분하게 된다. 병원균에 감염되면 1~4일의 잠복기를 지나 발병하는데 발병의 경우 발열과 식욕감퇴를 볼 수 있고 동시에 다량의 수양성 비즙을 유발한다. 발병 3일경부터 비즙은 점조성이나 고름같이 되어 기관점막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골골하는 호흡음을 내며 입을 벌리고 목을 길게 뽑아내는 개구호흡을 하면서 소리를 지르는 닭도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설사나 녹색변을 배출한다. 발병 후 4~5일부터 아래턱 또는 목속에 부종성의 종창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산란계의 경우 산란의 정지와 산란율의 저하가 나타난다. 병의 경과는 닭의 일령 사육환경 및 기후 등에 영향을 받지만 보통 10일을 전후하여 일반증상이 회복되며 폐사하는 경우는 드물다. 세균성 질병으로는 전염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높은 이병률을 보이지만 폐사율은 20%이하로 낮다. 사료 및 물의 섭취량이 감소하고 산란율이 10~40%까지 감소되며 육계에서는 증체율이 떨어진다",
"subdesc4": "여러 종류의 설파제와 항생제가 치료에 사용되는데 특히 설파디메톡신과 설파치아졸을 사료에 첨가하여 5~7일간 급여시 임상증상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크다. 그러나 이 질병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고 다시 감수성을 가지면 재발되기 때문에 더 오랫동안 치료를 요하기도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미발생 농장에서는 큰 닭을 농장에 반입하지 말고 초생추만 입식한다. 발생한 농장에서 다른 계군으로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사를 완전히 비운 후 청소와 소독을 실시하고 1주일 정도 완전히 비워둔다. <br> <br> <br>",
"subdesc1": "호흡기를 통한 직접 접촉에 의해 병원체의 전파도 이루어지나 중요한 전파경로는 음수를 통해서이다. 즉 콧구멍으로 침입한 병원균이 비강이나 안와하동의 점막에서 증식하고 콧물이나 눈물에 포함되어 배출되게 된다. 발병초기의 콧물 1㎖중에는 100만~1억개라는 대량의 병원균이 배출되어 먹는 물을 오염시켜 다른 닭에게 전파시킨다. 병의 진행속도는 빠르고 처음 감염되는 계군에서는 폭발적인 발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또 병원균은 사료 양계기구 관리인의 의복 등을 통해서 전파되고 먼지 등에 부착한 균이 바람을 타고 전파되기도 한다. 이 병은 연중 발생하나 여름철에는 적고 5~7월과 11~1월의 환절기에 다발한다. 닭은 일령에 관계없이 발생하나 특히 산란계의 경우 4개월경부터 1년 미만의 암탉이 가장 감수성이 높다. 2년계가 되면 점차 저항성이 높아진다. 이 병은 일단 발생하면 농장내의 닭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계속 발생하지만 초기 발생시에는 급성경과를 취하지만 차차 만성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 gallisepticum)의 복합감염시 질병의 장기화가 초래된다"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72f95ebe-f50f-4ef2-aadb-d7d853b2aafd",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3.keyword",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subdesc5.keyword"
],
"_source": {
"subdesc3": "우리나라에서는 1964년부터 외국으로부터 종란과 초생추가 다량으로 수입된 이래 마이코플라즈마에 대한 양계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였으며 1967년에 야외 가검계에 대한 혈청검사에서 12%의 MG 양성률이 확인되고 8주의 MG가 분리되면서 MG 감염증이 처음 보고되었다. 이후 1970년에 서울 근교의 종계장을 대상으로 혈청검사에서 4.1%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1978년에 6개 지역의 20개의 종계장에 대하여 조사한 MG 감염상황은 20~67% (평균 47.4%)를 나타냄으로서 국내 닭의 마이코플라즈마 감염률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후 혈청검사와 균분리 검사를 통하여 자연감염 예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1993년에 보고된 국내 종계군의 마이코플라즈마 항체 보유율 조사결과에서는 MG가 계군별로 75.0% 개체별로 54.9% 그리고 MS가 계군별로 73.8% 계체별로 57.7%의 양성률을 보여 국내 종계장의 대부분이 마이코플라즈마에 감염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br> <br> <br> <br> <br> <br>",
"subtitle1":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피해",
"@timestamp": "2023-06-12T16:26:35.374488730Z",
"subtitle4": "닭 마이코플라즈마병의 방제",
"subtitle3": "국내 발생상황",
"subdesc5": "닭 마이코플라즈마병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질병의 방제에 있어서는 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케이스별 접근이 주효하다. 농장마다 사육환경에 차이가 있으며 주변의 여러 여건들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접근방식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마이코플라즈마의 근절법은 마이코플라즈마 부재 종계군을 이용한 무감염계 유지관리 적합한 검색프로그램 철저한 위생관리 동일 연령계 유지를 통한 올인올아웃(all-in all-out) 체계 등이다. 서구의 축산 선진국들은 대부분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여 마이코플라즈마 청정화 및 청정화 유지를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종계산업의 체질적 개선을 통하여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산란계 농장과 일부 종계장에서와 같이 다른 연령의 계군들을 함께 사육하는 농장이나 좁은 지역내에 많은 계군들이 밀집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방법으로 마이코플라즈마를 근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또한 감염을 차단하여 마이코플라즈마를 예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는 적절한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용 가능한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은 MG 백신뿐이며 야외감염 방어효과도 완전하지 못하므로 백신을 이용한 마이코플라즈마의 방제는 상당히 제약이 많이 따른다. 또한 종계군에서의 마이코플라즈마는 결국에는 근절되어야 할 질병으로 무리한 백신접종에 의한 질병검색상의 혼란이 야기될 경우 이 질병의 근절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근본적으로 마이코플라즈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종계군의 청정화에 접근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는 백신접종이나 투약이 아닌 감염계군의 도태와 농장의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우리 양계산업이 마이코플라즈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올바른 길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
"pkey": "72f95ebe-f50f-4ef2-aadb-d7d853b2aafd",
"subtitle2": "발생양상 및 전파경로",
"subtitle5": "",
"title": "닭(마이코플라즈마)",
"subdesc2": "대부분의 조류가 마이코플라스마균에 감염되지만 주로 닭과 칠면조에서 경제적인 피해를 주며 발생 일령으로는 4~12주령에 다발하는 경향이 있으나 산란개시기에 생리적 변화가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전염경로는 닭에서 닭으로 전파되는 수평감염과 종계의 종란을 통하여 병아리에 직접 전파되는 수직전염(난계대전염)에 의해 감염된다. 수평감염은 감염계의 호흡기로부터 배출된 비말에 직접 노출되거나 균에 오염된 먼지 사료 및 음수 등을 통하여 계군내에서 쉽게 전파되고 계군간의 전파는 오염된 신발 양계기구 등을 통한 간접적인 전염이 이루어진다. 또한 멀리 떨어져 있는 계사나 농장 간의 전파는 야생조류나 야생동물 차량이나 사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마이코플라즈마균이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흔하지 않다. 수직감염인 난계대 전염은 MG MS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난소나 수란관의 상피세포에 감염되었거나 균에 오염된 정액이 난관을 통해 난황에 감염됨으로써 난계대 전염이 이루어진다. 특히 칠면조의 경우는 교미에 의해서 전파되는 성병으로써 근절이 매우 어려운 질병이다. 그밖에도 마이코플라즈마균에 오염된 종란으로 타 생독백신을 제조할 시 백신에 의해서도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br> <br>",
"subdesc4": "MG와 MS의 방제과정은 주로 종계장에서 MG 및 MS 부재계군을 작성하여 이 질병의 난계대전염을 예방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실용계 농장의 경우는 마이코플라즈마 부재 병아리를 구입하고 철저히 격리 사육하여 이 질병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 권장되고 있다. 현재 주로 이용되는 방제프로그램은 정기적인 혈청검사를 통하여 계군의 감염유무를 검색하고 또한 육성기 동안 적절한 투약을 병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란율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을 이용하기도 한다. <br> <br> <br> <br> 가. 종계장의 마이코플라즈마 부재 계군 작성방법<br> 종계장에서의 마이코플라즈마 부재계군 작성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MG 부재계군 작성을 모델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마이코플라즈마에 오염된 종계장에서 부재계군을 작성할 경우를 예로 언급하겠다. MG 부재계군 작성을 위해서는 제일 먼저 종계용 부화란(이하 종란)을 생산하는 종계군에 대하여 한달 간격으로 두 번의 혈청검사를 수행한다. 이 검사에서 항체역가의 변동이 없는 계군을 선발하고 MG에 효과적인 약제를 투약하여 대략 한달 간은 MG 오염란의 생산을 예방한다. 필요하다면 종란에 대하여 침지 주사 등의 방식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 마이코플라즈마 오염을 제거한다. 이렇게 생산한 종란으로부터 부화된 병아리는 몇 개의 작은 계군(계군당 500수 미만)으로 나누고 잘 격리시켜 사육하면서 정기적인 혈청검사를 수행하여 양성계군은 도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두 세대 이상 반복해야 하며 이를 통하여 감염이 완전히 제거된 계군을 MG 부재 종계군으로 이용한다. 국내에서는 1983년부터 이러한 마이코플라즈마 부재계군 작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타일로신과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이용한 침지 시험에서 침지하지 않은 MG 감염종란의 균 회수율 41.7%에 비하여 침지한 감염종란에서는 균 회수율이 6.3~8.3%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부화율에 있어서도 무침지 감염종란의 45.8%에 비하여 침지 감염종란은 72.2~75.0%로써 상당히 높았다. <br> 나. 항생제 투여<br> MG와 MS는 타일로신과 같은 마크롤라이드(macrolide)계와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계 항생제에 매우 감수성이 높으며 이러한 약제들은 닭 마이코플라즈마병 예방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6년 야외분리 마이코플라즈마의 항생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한 결과 M. gallisepticum M. synoviae 분리균 모두 tetracycline 계열의 항생제에서 0.5ug/㎖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증식이 억제되며 aminoglycosides 계열의 항생제 중 Erythromycin의 경우 64ug/㎖ flumequine 계열의 항생제인 norfloxacin과 ofloxacin의 경우 16ug/㎖ 등의 높은 농도에서 증식이 억제됨을 나타내었다. <br> <br> 다. 백신의 이용<br> 산란계는 일반적으로 18개월 이상 장기간 사육되며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여러 연령의 계군을 유지하면서 생산주기가 지속되는 대규모 양계장들이 밀집된 지역들이 있다. 비록 MG 부재계군에서 생산된 병아리를 이용할 수 있어도 이러한 농장들은 이미 감염되어 있는 노계군으로 인해 새로 도입된 계군이 MG와 MS에 계속 재감염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물론 이런 농장들은 MG와 MS 감염으로 인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MG 생균백신 또는 사균백신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6년부터 MG 사균백신이 수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수입백신을 대치하기 위하여 1992년에 처음으로 자체적으로 사균오일백신을 개발하여 야외적용시험을 하였다. 현재는 국내 여러 업체에서 MG 사균백신을 생산하고 있으며 호주에서 개발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MG 생균백신(ts-11)도 도입되어 적용되고 있다. <br> <br> <br> <br>",
"subdesc1":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은 상당부분 만성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급성 전염병과 같은 뚜렷한 증상은 잘 관찰할 수 없다. 그러나 일단 감염되면 대장균증이나 전염성기관지염 등의 질병 발생률이 증가하며 따라서 난질의 저하와 계태아의 폐사율 증가 및 유약한 병아리의 생산량이 상승한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균을 가지고 태어난 병아리의 경우 뉴캣슬병생독백신 등의 접종시 부작용이 증가하고 따라서 여러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야외감염에 대하여서도 다른 건강한 병아리보다 쉽게 노출되어 만병의 근원이 된다. 양계농가에 MG는 만성적인 산란률 감소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감염균주의 병원성과 감염일령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외국의 보고자료에 의하면 산란계의 경우 60주까지의 산란수를 비교하였을 때 주간 MG에 감염된 산란계의 산란수가 그렇지 않은 닭에 비해 평균 15~25개 정도 감소한다고 하며 종계의 경우는 5개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 외에 사료효율 감소와 많은 투약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MG는 분명히 양계농가에 큰 손실을 가져다주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br>"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e659d22a-9245-486c-b791-a1c7f164efe5",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3.keyword",
"subdesc1.keyword"
],
"_source": {
"subdesc3": "주로 어린 강아지에서 심한 증상을 나타내며 나이든 개에도 감염된다. 감염되고 나서 3~4일후 임상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수양성 콧물과 폭발적인 건성 기침이 특징적이며 연속적인 기침 후 구토가 따른다. 감염된 강아지의 경우에 약 2 - 3개월 동안 보데텔라균을 누설하게 된다. 초기에는 발열증상이 보이지 않다가 차츰 39~40℃까지 체온이 급격이 올라간다. 심한 경우 환견은 폐장에 광범위한 기관지 폐렴 병변을 나타낸다. 국소면역에 의해서 기관지내의 균체가 감소하기도 한다. 면역은 균체가 기관지에 부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일어난다. 그러나 감염후 3개월까지는 균체의 완전한 제거가 일어나지 않는다. 회복된 개는 최고 14개월 동안 재감염에 대한 면역성을 지니기도 한다. 진단은 여러 가지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비루 등에서 균 분리 배양을 실시할 수 있다.",
"subtitle1": "원인체 및 감염경로",
"@timestamp": "2023-06-12T16:26:35.375067949Z",
"subtitle4": "치료 및 예방대책",
"subtitle3": "임상 및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개 보데텔라성 폐렴은 어린 개에서 주로 발생하",
"pkey": "e659d22a-9245-486c-b791-a1c7f164efe5",
"subtitle2": "국내 외 발생현황",
"subtitle5": "",
"title": "개(개 보데텔라성 폐렴)",
"subdesc2":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거의 전 세계적으로 발생보고가 있다. 혈청학적인 진단을 위하여 시험관내 응집반응 현미경 용균반응 ELISA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체액성 면역반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집단견들의 백신 상태를 통제할 수 있다.",
"subdesc4": "개가 기침을 하거나 콧물이 흐르는 등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나타낼 때에는 가능한 빨리 치료를 실시하여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아야 폐렴까지의 진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광범위 항균제와 함께 대사촉진제 영양제 등을 병용 투여하여 개의 회복을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는 보데텔라 균체에 대한 백신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가능한 철저한 백신을 실시하고 환경의 관리에 힘써야 한다. 주로 유용한 항생제로는 carbenicillin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ulfamethazine erythromycin aminoglycosides polymixin B 등이 유용하며 penicillin에 내성인 균들은 많이 있다. kanamycin gentamicin polymixin B등을 분무로 주입하면 감염견의 기도 내에 있는 Bordetella bronchseptica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임상증상을 개선시킨다.",
"subdesc1": "원인체는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로서 개의 호흡기 질병에 가장 흔하게 관여하는 균체이다. 이 균은 그람음성의 단간균으로서 주위 편모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을 나타내고 호기상태에서 일반 배지나 MacConkey agar 등에서도 발육이 가능하다. MacConkey agar에 1% glucose를 첨가하면 이 균은 특징적인 청회색 집락을 형성한다. 혈액배지상에서는 작고 거의 투명하게 자라며 대부분의 균주들은 용혈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크기의 용혈성 및 비용혈성을 나타내는 변이균주들이 출현하기도 한다. 이 균은 당을 분해하지 못하며 oxidase catalase lysine decarboxylase urease 등을 산생하며 citrate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균은 litmus milk에서 강한 alkaline 반응을 나타내며 발육을 위하여 nicotinamide를 요구하며 대부분 potassium tellurite에 매우 민감하다. 감염된 환견의 콧물 등의 분비물에 접촉하거나 공기를 통하여 전파될 수 있다. 균체는 상부 호흡기 상피의 섬모에 부착하여 섬모와 상피의 손상을 초래한다. 호흡기 상피세포의 염증반응에 따른 호중구의 침착으로 섬모운동이 마비를 일으킨다. 균이 산생하는 피부괴사독소(dermonectrotic toxin)는 호흡기계에 많은 손상을 초래한다. 섬모손상으로 인해 일차적인 방어기능이 약화된 개체의 하부 호흡기인 폐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개 보데텔라성 폐렴에 의한 기관의 점막누적은 개에서 계속된 기침을 유발한다."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01da65ff-a691-4f1a-b72f-45db78cccf88",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3.keyword",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subdesc5.keyword"
],
"_source": {
"subdesc3": "감염 4~7일째 임상증상이 갑작스럽게 출현한다. 높은 이병율과 낮은 치사율 성장저하가 나타나는데 어린 칠면조에서의 최초 임상증상은 깨끗한 점액성의 비루와 재채기와 안부의 삼출물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활력이 감소하고 열원으로 모이게 된다. 삼출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워지며 목소리가 변하거나 더 심하게 감염을 받을 시는 기관음과 더불어 목소리를 아주 잃어버린다. 기관음은 회복후에도 수주간 지속된다.<br> 단독 발생시는 폐사율이 낮으나 다른 호흡기성 질병과의 복합 감염시는 임상증상이 출현한 후 10~14일째부터 폐사가 나기 시작하여 10~60%에 이르게 된다. 폐사에 가장 일반적인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나쁜 환경상태 특히 암모니아농도가 높을 때 폐사율은 크게 증가한다.<br> 늙은 칠면조에 있어서는 비루와 안부에서 삼출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개구음만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출현한다.<br>",
"subtitle1": "원인체",
"@timestamp": "2023-06-12T16:26:35.375512169Z",
"subtitle4": "진단",
"subtitle3": "증상",
"subdesc5": "일반적으로 항생제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이는 원인체가 위치해있는 호흡기까지 항생제가 효과적으로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분무접종은 치료기간동안 임상증상을 약화시키는데 효과는 있으나 장시간동안 사용시는 효과가 감소한다.<br> 계사의 환기를 잘 하며 온도의 올려주고 사료섭취와 음수를 많이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br> 칠면조 계사와 계사내 모든 장비들을 청결하게 유지 하며 소독을 철저히 하고 언제나 완전히 마른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노력한다. 또한 농장을 돌아다니는 차량을 통제하고 어린 칠면조와 야생조류와의 접촉을 방지한다.<br> 어미 칠면조에 오일백신을 실시하여 가장 감수성이 큰 4주령 이상의 칠면조에 모체이행항체를 부여해 주는 것이 좋으며 또한 생독백신의 사용할 때는 부화장에서 1일령 칠면조에 점안 접종을 실시하며 2~3주령때에 음수접종을 실시한다.<br>",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칠면조의 급 만성 상부호흡기 질병으로 어린 ",
"pkey": "01da65ff-a691-4f1a-b72f-45db78cccf88",
"subtitle2": "발생 및 역학",
"subtitle5": "",
"title": "칠면조(코라이자)",
"subdesc2": "1~6주령의 칠면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나 모든 연령의 칠면조가 다 감수성을 가진다. 여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는 이 질병은 미국과 같이 칠면조의 사육이 많은 나라에서 많으며 독일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이스라엘 남아프리카 등에서도 보고되고 있다.<br> 칠면조 계사내의 먼지와 음수 분변이 주 오염원으로 약간 습기가 있는 분변에서는 6개월동안 생존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소독제와 환경조건 특히 건조에 감수성이 크다. 여름과 가을에 잘 발생하며 여러 일령의 칠면조를 동시 사육시 문제가 크며 이는 늙은 칠면조는 보균상태로 오래 존재하기 때문으로 따라서 어린 일령으로의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 질병은 한번 발생시 상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br>",
"subdesc4": "기관으로부터 원인체를 분리하기는 비교적 쉬운데 머콘기아가(MacConkey agar)에서 48~72시간 배양시 투명한 집락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때 붉은색 집락이 많이 관찰되면 원인체의 증식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이 질병의 경과가 수주간 지속될 때 잘 나타나며 발병 초기의 균분리시에는 거의 단일한 무색집락의 관찰이 가능하다.<br> 다른 원인체에 의한 호흡기 질병으로 동정되었을 때에도 B. avium 분리는 시도되어야 하는데 이는 B. avium으로 인하여 더욱더 심각한 호흡기계 질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br>",
"subdesc1": "보르데텔라 아비윰(Bordetella avium)이 주 원인체로 단독이나 다른 호흡기성 병원체 또는 환경적 스트레스와의 조합으로 발생한다. 이 원인체는 그람 음성의 세균으로 type 1 과 2로 두가지 형이 발생되고 있으나 주로 1형이 심한 임상증상을 유발하며 자주 발생된다. 또한 병원균에 따라 독력의 차이가 크다. 종종 뉴캣슬 바이러스(Newcastle virus)나 다른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es)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파스튜렐라(Pasteurella) 대장균의 복합감염시 증상의 발현을 더욱더 심각히 야기시킨다.<br> 닭이나 다른 조류에서도 원인균이 분리되고 있는데 이 경우 육계에서는 호흡기계 증상 더욱 심각하게 발현되는데 특히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와 혼합시 그러하다.<br>"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f34a2319-55fd-47c4-a41e-6c1bb958757c",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3.keyword",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
"_source": {
"subdesc3": "가. 임상증상<br> 암캐의 경우 가장 두드러진 임상증상은 전구 증상 없이 임신 45~59일 사이에 유산을 일으키지만 모든 시기에 영향을 미쳐 임신 20일 이전에는 조산을 함으로써 임신소견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유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감염된 어미로부터 태어난 강아지는 대개 허약하거나 이유연령 때까지 생존하지 못한다(그림 2). 임신하지 않는 암캐는 대개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자궁분비물 또는 뇨를 통해서 계속해서 원인균을 배설한다. <br> 숫캐의 경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임상증상은 생식기의 증대 및 비정상적인 정액이며 간혹 만성형에 있어서는 고환위축(testicular atrophy)를 관찰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정자 형태 정자 운동성 감소 정자수 감소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어떤 개에 있어서는 음낭종창(scrotal swelling) 및 음낭 피부염(scrotal dermatitis) 등을 관찰할 수 있다. <br> <br> 나. 진단방법<br> 원인균 분리는 최종 확진할 수 있는 진단법이며 균분리 가검 재료로는 암캐의 경우 유산태아 유산 후 질 분비물 혈액에서 가능하며 숫캐에 있어서는 정액 혈액 뇨에 대해서 실시한다. 이들의 유제를 분리용 고형배지 및 선택배지에 직접 도말하여 37℃에서 배양한다. 분리균의 동정은 그람염색 아크리프라빈응집 혈청응집반응을 실시하고 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한다. <br> 혈청학적 검사방법은 널리 사용되는 진단방법으로서 신속평판응집반응(Rapid slide agglutination test ; RSAT) 시험관응집 방법(Tube agglutination test ; TAT) 면역확산반응(Agar gel Immunodiffusion Test ; AGID) 효소면역학적 반응(Enzyme-linked immuno sorbent assay ; ELISA)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단일진단법으로 완벽한 것이 없어 나라마다 2~4종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subtitle1": "정의",
"@timestamp": "2023-06-12T16:26:35.374972516Z",
"subtitle4": "치료 및 예방 대책",
"subtitle3": "임상증상 및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세균에 의한 사람 및 동물의 감염증으로서 소염",
"pkey": "f34a2319-55fd-47c4-a41e-6c1bb958757c",
"subtitle2": "원인체 및 감염경로",
"subtitle5": "",
"title": "개(개 부루세라병)",
"subdesc2": "개 부루셀라병은 주로 B. canis에 의해서 야기되지만 이 균 외에 B. abortus B. suis B. melitensis에 의한 감염도 보고된 바 있다. <br> Brucella canis는 그람음성의 비운동성인 작은 간균으로 숙주 세포내 기생하는 세균이다.<br> Brucella배지 혈액배지 Trypticsoy agar에서 3~5일간 호기성 및 CO2 배양시 모두 발육하며 반투명 집락을 형성하며 Mucoid 상으로 된다.<br> 이 질병의 감염 및 전파방법은 주로 유산 후 유산태아나 유산물질 질 분비물로부터 부루셀라균의 흡식이나 섭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감염 후 3~11주 사이의 정액에는 많은 수의 균이 있으므로 좋은 감염원이 될 수도 있다. <br> 감염경로는 주로 구강(oral) 비강(nasal) 결막(conjunctival) 질점막(genital mucose membrane) 피부 찰과상(abrasions in the skin) 태반(placenta) 교미 및 인공수정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subdesc4": "원인균인 B. canis는 세포 내 기생하는 세균이므로 단기간의 항생제 치료시 재발하는 등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장기간의 항생제 반복투여가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치료효과가 100%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사람과 다른 동물에 대한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항생제 치료법은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항생제로는 Tetracyclines Aminoglycosides Sulfonamides Erythromycin Ampicillin 등이 선택되어지고 있다. <br> 개 부루셀라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약이 없으므로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새로 구입한 동물에 대해서는 8~12주 동안 따로 격리하여 월별로 검사하여 양성개를 검색하여야하며 일단 부루셀라 양성견이 발생한 사육장은 반복적인 검사로 감염축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조기에 근절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br> 먼저 오염된 축사는 크레졸 3% 가성소다 2% 석탄산 0.3% 등 소독제로 철저하게 소독하고 전 두수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집단사육시 부루셀라 검사를 반복으로 실시하여 음성으로 나올 경우 음성군으로 최종 확진할 수 있다.",
"subdesc1": "개 부루셀라병(Canine Brucellosis) 은 소부루셀라병과 유사한 질병으로서 주로 Brucella. canis라는 세균에 의해서 일어나는 전염병이다. 이질병에 감염되면 숫캐에서는 전립선염 고환염 등을 암캐에서는 불임 및 유산 등의 번식장애를 일으키는 만성전염병이다.<br> 사람에게도 감염되어 파상열 관절염 오환 등을 일으키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감염된 개로부터 부루셀라 균에 의한 사람의 발병율은 낮지만 임신한 부인 면역억제 된 환자 위생상 좋은 습성을 갖지 못하는 어린이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특별히 조심해야 한다. 개 부루셀라병은 유산을 제외한 특별한 임상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상 어려움이 많고 항상 보균동물로 존재함으로써 개를 집단적으로 사육하고 있는 번식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전염병이다."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f177e7c4-f660-4497-8fc8-ec8fa63c064e",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
"_source": {
"subdesc3": "육안으로 관찰하여 체표에 염증이 생긴 경우와 꼬리지느러미 연조 및 꼬리자루가 노출된 경우 전형적인 스쿠티카 감염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다른 기생충과 감별하기 위하여 현미경으로 오이씨 모양의 충체를 확인하고 두부에 중증으로 감염된 경우 해부하여 뇌 속의 스쿠티카충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br> <br> <br>",
"subtitle1": "원인체",
"@timestamp": "2023-06-12T16:26:35.375901946Z",
"subtitle4": "치료 및 예방대책",
"subtitle3":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스쿠티카 감염증 (Scuticocillatos",
"pkey": "f177e7c4-f660-4497-8fc8-ec8fa63c064e",
"subtitle2": "증상",
"subtitle5": "",
"title": "어류(스쿠티카감염증)",
"subdesc2": "이 기생충은 어체의 아가미 피부 지느러미의 상피조직의 하층 진피와 근육층 사이까지 침입하여 상피세포의 증식 비후 및 충혈 심지어 괴사까지 유발한다. 근육에서는 횡근섬유세포 사이에 기생하여 조직을 붕괴시키고 괴사시킨다. 돔류와 조피볼락의 경우 체표가 벗겨지는 찰과상을 일으키며 농어의 경우 두부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넙치는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데 체표의 염증 지느러미 연조 및 꼬리자루의 노출 두부손상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두부손상의 경우 주둥이의 출혈이나 안구백탁 및 돌출 구강점막의 울혈 등이 나타난다고 한다. 이 기생충은 또한 뇌에도 침입하여 감염을 유발하는데 뇌로 직접 침입하기도 하나 꼬리자류 손상부위에 침입하여 중추신경계를 타고 뇌에 침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기생충이 뇌에 감염되면 감염어는 대부분 폐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ubdesc4": "체표나 아가미에 기생된 경미한 감염의 경우는 포르말린을 100-200 ppm으로 1시간 동안 약욕시키고 약욕시킨 후 수조를 청소하고 맑은 해수를 공급해 준다. 그러나 뇌를 비롯한 내부기관에 기생한 스쿠티카충은 유효한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감염된 어체의 경우 발견즉시 수거하여 폐기토록 해야 한다. 따라서 조기감염 확인으로 경감염된 상태에서 치료를 수행하고 뇌나 내부기관으로 이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스쿠티카충은 감염종묘를 비롯하여 환수가 좋지 못한 사육수조에 상존하여 감염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 기생충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육지의 철저한 소독과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며 환수량의 증대 및 자어나 치어의 주기적 검사가 필요하다. <br> <br>",
"subdesc1": "섬모충류의 하나인 스크티카충목에 속하는 섬모충이 원인체이다. 이 종은 해수에서 자유유영을 하는 섬모충이며 현재까지 1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 종은 육안으로는 관찰이 불가능하고 현미경 상에서 보면 오이씨 모양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및 일본의 해산어 양식어에 감염되어 많은 피해를 입히는 종은 주로 Uronema marinum이다. 스쿠티카에 속하는 섬모충은 주로 세균류를 먹이원으로 하며 용존산소농도가 낮은 환경과 유기물이 많을 경우 출현한다. <br> <br> <br>"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c6fb4336-061b-4cb9-8b9e-cc77c1fc095e",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1.keyword",
"subdesc5.keyword"
],
"_source": {
"subdesc3": "감염된 오리는 움직이는 것이 어려우며 기침과 재채기 녹변 눈과 비강등에서 분비물이 출현한다. 심한 경우 머리와 목을 떨며 혼수상태가 된다. 감염을 받은 새끼오리는 움직이지 못하게 되며 살아 남더라도 외소하게 된다. 부검시 가장 일반적인 육안적 소견은 간과 심장에 섬유소성 삼출물이 출현이며 섬유소성 기낭염과 수란관염도 일반적이다.",
"subtitle1": "원인균",
"@timestamp": "2023-06-12T16:26:35.375414563Z",
"subtitle4": "진단",
"subtitle3": "증상",
"subdesc5": "항생제와 설파제가 이 질병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설파메타진의 경우 0.2~0.25%로 사료와 음수에 첨가하여 급여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파퀴녹살린을 0.025~0.05%되게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면 폐사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그외 노보바이오신이나 린코마이신등도 사료에 첨가하면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린코마이신과 스펙티노마이신 조합제제나 페니실린등을 피하로 주사시에도 폐사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br> 불활화 백신이 이 질병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백신생산이 되지않고 있다. 이는 이 질병의 경우 백신의 혈청형과 질병을 유발한 혈청형의 형이 다를 경우 방어가 잘 되지 않기 때문으로 현재 미국에서는 혈청형 1 2 5를 함유하는 백신을 만들어 2~3주령 새끼오리에게 주사하고 있다. <br> <br> <br>",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오리의 급 만성 질병으로 섬유소성 심낭염 ",
"pkey": "c6fb4336-061b-4cb9-8b9e-cc77c1fc095e",
"subtitle2": "발생 및 역학",
"subtitle5": "",
"title": "오리(파스튜렐라감염증)",
"subdesc2": "1~8주령의 어린 오리가 가장 감수성이 크며 특히 5주이하의 오리새끼의 경우 증상이 출현한지 1~2일 이내에 죽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좀 더 큰 오리의 경우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이 질병은 건강한 오리라도 일단 병원체에 노출되면 발병되어 증상이 나타나는데 감염경로와 병원주에 따라 병변의 정도는 다양하며 치사율은 5~75% 정도이다.<br> 감염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상처난 피부(특히 발바닥)를 통해 이루어진다.<br>",
"subdesc4": "임상증상과 부검소견으로 추정진단이 가능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병원체의 분리와 동정이 필요하다. 병원체는 질병의 급성기에 심장과 뇌 기낭 골수 폐 간 삼출물등에서 쉽게 분리되어 지는데 의심되는 가검물을 혈액배지에 접종하여 미호기성 상태로 배양하면 특유의 집락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집락은 급속평판응집반응이나 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동정한다.<br> 또한 이 질병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은 다른 세균성 질병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multocida)나 대장균 스트렙토코코스 살모넬라등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subdesc1": "파스튜렐라 아나티페스티퍼(Pasteurella anatipestifer)가 원인균으로 현재 8-12개의 혈청형으로 나뉘어지고 있으며 질병을 일으킨 원인균의 혈청형과 백신주의 혈청형이 서로 다를 경우 방어가 잘 되지 않는다. 음수중에서 13~27일간 생존할 수 있으나 페니실린이나 노보바이오신 클로람페니콜 암피실린등의 항생제에 감수성이 크고 카나마이신과 폴리믹신 비와 같은 항생제에는 저항성을 나타낸다.<br> 이 원인체는 닭이나 칠면조 꿩 수조 등에서도 분리 보고되고 있다.<br>"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5f66b959-5df5-4f41-8bff-c90abb72605a",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subdesc2.keyword"
],
"_source": {
"subdesc3": "넙치에서 림포시스티스병의 발생은 양식장에 종묘 입식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종양이 형성되는 경향이 보이는데 이로서 초기 진단이 가능하며 임상증상 및 부검소견으로서도 쉽게 진단 할 수 있다. 조직학적 소견으로서는 림포시스티스 종양조직의 비대세포를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고. 바이러스학적인 진단은 이리도바이러스에 준하여 실시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subtitle1": "원인체",
"@timestamp": "2023-06-12T16:26:35.376228300Z",
"subtitle4": "치료 및 예방대책",
"subtitle3":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림포시스티스병(Lymphocystis Dise",
"pkey": "5f66b959-5df5-4f41-8bff-c90abb72605a",
"subtitle2": "증상",
"subtitle5": "",
"title": "어류(림포시스티스병)",
"subdesc2": "병어는 지느러미나 체표 등의 피부뿐만 아니라 근육 간장 난소 장 등의 내부에서도 림포시스티스 세포 (Lymphocystis cells)가 만들어져 종양을 형성한다. 림포시스티스 세포는 수포모양을 하고 있으며 빛을 난반사하기 때문에 잡아 올린 어체상에서는 은백색으로 보이며 세포 내부에는 다량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된다. 감염된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커지며 세포질 내에는 강한 호염기성의 큰 봉입체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림포시스티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병어는 지느러미 체표 입 주위에 종양을 형성하여 빈혈로 인하여 서서히 폐사되거나 세균의 2차 감염으로 폐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 자체로 행동이나 활동 등에 장애를 초래하지는 않으며 생명에도 별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br> <br> <br>",
"subdesc4": "종양이 형성된 후 일정 간격 (15일)으로 종양 제거를 해주면 이후 발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제때 종양 제거 작업을 하지 못하면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초기 종양 제거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종양 제거 작업으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종양제거 작업시 반드시 상처부위 소독작업과 수조 청결작업을 실시하여 2차 세균감염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예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많은 종류의 해산어 및 담수어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예방대책이 어려운 실정이지만 밀식 환수율 부족 및 수질악화 등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할 때 병의 발생과 확산이 빠르게 일어나 피해가 크기 때문에 양식장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예방대책으로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subdesc1": "이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체는 DNA 바이러스인 이리도바이러스 (Iridovirus)로서 이 바이러스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세계적으로 각종 해산어와 담수어에 감염되며 이 바이러스는 어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30~230 ㎚크기로서 증식에 적절한 수온은 25℃전후이다."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8ef34c66-25ed-4d07-bed6-c0517973a4a9",
"_score": 1.0,
"_ignored": [
"subdesc2.keyword",
"subdesc1.keyword"
],
"_source": {
"subdesc3": "",
"subtitle1": "원인체 및 감염경로",
"@timestamp": "2023-06-12T16:26:35.375805511Z",
"subtitle4": "",
"subtitle3": "",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요네병(Johne’s disease)은 소 ",
"pkey": "8ef34c66-25ed-4d07-bed6-c0517973a4a9",
"subtitle2": "국내외발생현황",
"subtitle5": "",
"title": "소(요네병)",
"subdesc2": "미국의 발생현황을 보면 젖소목장의 22% 육우목장의 8%정도에서 요네균 양성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도 비슷한 상황으로 한우보다 젖소에서의 발생율이 높다.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사육규모가 커지고 집단화되면 발생율은 더 높아질 수도 있다.<br> 한편 발생에 따른 피해규모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곤란하지만 미국 농무성에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임상증상을 보여 도태되는 젖소 당 년간 약 245달러의 손실이 있다고 보고하였고 이 질병으로 인한 미국내 연간 손실액이 약 2~2.5억달러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이런 막대한 손실의 주요 원인은 착유량 감소 때문이다.",
"subdesc4": "",
"subdesc1": "요네병균(Mycobacterium avium subspecies paratuberculosis)은 1895년 Johne와 Frothingham에 의해서 처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소 사람 등에서 결핵을 일으키는 M. bovis M. tuberculosis등과 매우 유사한 세균이지만 결핵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이 균은 외부의 환경에 상당기간 생존 할 수 있어 고여있는 물이나 분변에서 약 9~11개월 정도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 질병의 전파경로를 이해하는 것은 질병의 차단을 위해 기본적인 것으로 이 질병은 주로 6개월령 이전에 감염되며 세균이 포함된 초유 우유 및 분변을 통해서 감염된다. 분변에 오염된 젖꼭지나 유방은 중요한 매개체이며 태반내 감염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네병에 이미 감염되어 있는 분만우는 임상증상이 없어도 초유와 우유로 요네균을 배출하나 우유보다는 초유로 더 많이 배출하며 분만우도 분만 후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임상증상을 보이는 어미소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의 20~40%가 태어나기 전에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숫소의 정액에서도 균이 발견된다. 따라서 인공수정에 쓰이는 수소는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성우에서는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
{
"_index": "search-engine-sample",
"_id": "1c0fb0f2-6c90-4f9b-aeef-815cd43b9bf4",
"_score": 1.0,
"_ignored": [
"subdesc4.keyword"
],
"_source": {
"subdesc3": "노다바이러스를 배양할 수 있는 SSN-1 세포주가 개발되어 있으며 RT-PCR과 Nested PCR법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중추신경계와 뇌의 병변을 관찰함으로서 진단할 수 있다. <br> <br> <br>",
"subtitle1": "원인체",
"@timestamp": "2023-06-12T16:26:35.376153908Z",
"subtitle4": "치료 및 예방대책",
"subtitle3": "진단",
"subdesc5": "",
"category": "축산/사육 > 질병/약품",
"summary":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Viral Nervou",
"pkey": "1c0fb0f2-6c90-4f9b-aeef-815cd43b9bf4",
"subtitle2": "증상",
"subtitle5": "",
"title": "어류(바이러스성신경괴사증)",
"subdesc2": "병어는 힘없이 유영하거나 선회 등의 비정상적인 유영행동을 보이며 쇠약해지면 양식장 바닥에 가라앉아 폐사하게 된다. 외관상으로는 특별한 병변을 나타내지 않으나 조직학적으로는 뇌 및 망막 조직의 세포에 괴사 및 붕괴에 의한 큰 공포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세포질 내에 소형의 바이러스 입자가 고밀도로 모여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br> <br> <br>",
"subdesc4": "노다바이러스는 어미로부터 난을 통하여 자어와 치어에게 수직감염되기 때문에 친어로 사용할 어미에서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확인하여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어류를 친어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종묘 생산장에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부분 전멸하므로 이 증상이 확인되는 즉시 배양수조의 소독을 실시하고 폐사어는 소각 또는 매몰하여 이 바이러스가 인근 해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노다바이러스는 해수중에서 최장 60일 가량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배출수를 통하여 원인 바이러스가 다시 양식장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해수가 양식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하며 또한 노다바이러스는 자외선에 의하여 불활화되므로 종묘 생산장에서는 유입수를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subdesc1": "원인은 노다바이러스(nodavirus)에 의한 것으로 외막이 없고 직경 25~30nm의 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본 바이러스는 수온에 따라 폐사율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 이상일 때는 폐사율이 높으나 15℃에서는 폐사가 발생되지 않아 고수온기에 병원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
}
]
}
}
적재한 샘플 데이터 : https://www.data.go.kr/data/15050904/fileData.do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_가축 질병/약품 정보_20190925
가축 질병,약품 정보
www.data.go.kr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_가축 질병_약품 정보_20190925.csv
끝.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부트에서 keycloak admin restAPI를 사용하려면,,, (0) | 2023.10.29 |
---|---|
[keycloak] SPI 에서 custom role 연동하기 (0) | 2023.06.07 |
[keycloak] User Storage SPI 사용시 Create at 필드 동기화 (0) | 2023.06.06 |
[keycloak] SPI (service provider interface) 를 이용하여 사용자DB를 연결하기 (version 20.0.5) (0) | 2023.05.22 |